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민찬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까요. '그린벨트 엇박자' 앞서 리포트에서도 보셨는데요. 여권이 혼란을 자초한단 지적이 나오고 있어요. <br><br>그린벨트 해제 가능성을 공식화한 건 홍남기 경제부총리였습니다. <br><br>지난 14일이죠. 홍 부총리는 "그린벨트 문제도 같이 점검이 이뤄질 가능성도 열어 놓고 있다"고 말한 건데요.<br> <br>문재인 정부 경제 수장이다 보니 홍 부총리 말에 무게가 실렸겠죠. <br> <br>그런데 하루 만에 정부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[박선호 / 국토교통부 1차관(지난 15일, CBS 라디오] <br>"단순히 집을 짓겠다는 용도의 생각만 가지고 그린벨트를 당장 활용하겠다고 하는 것은 좀 더 신중하게 봐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Q.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개원연설 이후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어요? <br><br>문재인 대통령 연설 들어보시죠. <br> <br>[21대 국회 개원연설(지난 16일)] <br>"정부는 투기억제와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입니다." <br> <br>범정부TF에서도 그린벨트 해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김상조 대통령 정책실장이 나서면서 조율이 끝난 분위기였는데, 상황이 급변했네요. <br> <br>정세균 국무총리가 공개적으로 김상조 정책실장과 다른 목소리를 낸 건데요. <br> <br>[김상조 / 대통령 정책실장(그제, KBS 라디오)] <br>"(그린벨트 해제 여부는) 이미 당정 간을 통해서 의견을 정리했습니다. 관련된 논란을 풀어가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죠." 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 (오늘, KBS '일요진단 라이브')] <br>"그린벨트는 한번 훼손하면 복원이 안 되거든요. 한번 쓰면 복원이 안 되지 않습니까? 그렇기 때문에 이 부분은 매우 신중해야 된다고 생각해요." <br> <br>정 총리는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었는데요. <br> <br>야당은 설익은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 혼란만 가중시킨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원팀, 원보이스를 강조해 왔는데 여전히 다른 목소리가 나오네요. 다음 주제 볼까요. '훈수 경쟁' 부동산 문제가 뜨겁다 보니 다들 한 마디씩 하고 있어요? <br> <br>이재명 경기지사가 부동산 정책에 대해 훈수를 뒀습니다. <br><br>이 지사는 "그린벨트 훼손을 통한 공급 확대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"고 했는데요.<br> <br>그러면서 도심 재개발, 용적률 상향, 신규 택지개발을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. <br><br>Q. 이 지사가 제안한 내용을 보면 야당 정책과 비슷해 보여요? <br><br>미래통합당 목소리 들어보시죠. <br> <br>[송석준 / 미래통합당 부동산특위 위원장(지난 10일)] <br>"용적률 규제 제한 과감하게 풀어서 계획되고 준비된 재건축, 재개발 지역 당장 허용해야 합니다." <br><br>윤희숙 통합당 경제혁신위원장은 "그린벨트 해제하면 수용비로 부동산 시장 거품만 늘어난다"고 적었습니다. <br><br>Q. 추미애 장관도 훈수를 뒀었는데, 후폭풍이 만만치 않아요? <br><br>추미애 법무장관 오늘도 금융과 부동산 분리 정책을 재차 제안했는데요. <br><br>"국무위원으로 국가 주요 정책에 의견을 표명할 수 있다"는 해명이 논란을 더 키우고 있습니다.<br> <br>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"고귀한 의견 국무회의서 표명했으면 박수 쳤을 것"이라고 비꼬았습니다. <br><br>Q. 정부가 22번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 했잖아요. 이런 조언들을 듣는 공청회가 부족했단 지적도 나와요. <br><br>정부 관계자들은 관련 부처에서 전문가들과 수시로 비공개 간담회를 연다고 설명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전문가들은 "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" "정부 대책의 시장 반응을 살피는 정도였다"고 평가했습니다.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